
자료형은 데이터를 표현하는 기준이다. 때문에 변수도 상수도 자료형에 근거한다. int num; => 정수 저장, 크기는 4바이트, 변수의 이름은 num 자료형(data type)은 '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'을 뜻한다. 기본 자료형의 종류와 데이터의 표현범위 "short와 int는 최소 2바이트이되, int는 short와 크기가 같거나 더 커야 한다." - C의 표준을 정하는 ANSI 즉, 자료형 별 크기를 정확히 제한하고 있지 않다. 따라서 자료형 별 크기는 컴파일러마다 차이를 보인다. 그렇다면 많은 수의 자료형을 제공하는 이유는? 1. 정수와 실수를 표현하는 방식이 다르므로, 최소 둘 이상의 자료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. 2. 메모리 공간의 적절한 사용을 위해서 다양한 크기의 자료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...
언어
2021. 10. 14. 17:49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비트연산자
- Python
- 파이썬
- unsigned
- dijkstra algorithm
- 내장 함수
- 파이썬 몫
- 파이썬 나머지
- scanf
- dp
- 열혈 자료구조
- 프로그래머스
- sizeof
- C언어
- 비트
- 이것이코딩테스트다
- 기본 자료형
- 자료구조
- 다익스트라 알고리즘
- 해시
- C
- 이코테
- dynamic programming
- 동적 계획법
- ascii
- 에러
- 코딩테스트
- leetcode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