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ASCII(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), 미국정보교환표준부호는 영문 알파벳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문자 인코딩이다. ※문자 인코딩은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나 기호들을 컴퓨터가 이용할 수 있는 신호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. ENTER = 13 ESC = 27 SPACE = 32 숫자 0 = 48 A = 65 a = 97 파이썬에서 아스키코드 활용할 때 1. ord(문자) : ASCII코드 반환 # Character to an Integer print(ord('A')) # 65 print(ord('a')) # 97 print(ord('0')) # 48 ordinal이라는 단어에서 따온 ord *ordinal : 순서를 나타내는 2. chr(숫자) : ..
1. divmod(숫자1, 숫자2) 숫자1를 숫자2로 나눈 몫과 나머지를 튜플 형태로 돌려주는 함수이다. print(divmod(9, 2)) # (4, 1) 2. int(문자열, 몇 진수) int함수는 문자열로 되어있는 숫자나 소수점이 있는 숫자 등을 정수 형태로 돌려주는 함수로만 알았는데 10진수가 아닌 진수로 표현된 문자열을 10진수 값으로 반환해주기도 한다. # 2진수 -> 10진수 print(int('101', 2)) # 5 # 16진수 -> 10진수 print(int('A', 16)) # 10 3. zip(*iterable)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진 자료형을 묶어 주는 역할을 하는 함수 print(list(zip([1, 2, 3], ['A', 'B', 'C']))) # [(1, 'A'), (2, 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비트
- 해시
- ascii
- dp
- dynamic programming
- 다익스트라 알고리즘
- 동적 계획법
- 파이썬
- 자료구조
- 이것이코딩테스트다
- 기본 자료형
- 파이썬 몫
- 프로그래머스
- sizeof
- unsigned
- 비트연산자
- dijkstra algorithm
- C언어
- 이코테
- scanf
- C
- 내장 함수
- 코딩테스트
- 열혈 자료구조
- 파이썬 나머지
- leetcode
- Python
- 에러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